-
ChatGPT는 정말 AI 1등일까?카테고리 없음 2023. 11. 24. 16:00
11:41입니다.
openai가 chatGPT로 세상에 AI 열풍을 불러일으킨지
어느덧 1년이 다 되어 가는데요.
(Chatgpt beta 출시일 11월 30일)
이제는 AI 챗봇 이름만 들어도 Chatgpt를 떠올리게 될 정도로
openai의 초기 선점 효과는 어마어마한 파급력을 가져왔고 현재 진행형이죠.
그럼 과연 아직까지도 Chatgpt가 AI 시장을 장악하고 있을까?
그럴 것 같긴 한데 과연 어느정도 차이를 벌려놓고 있을까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오늘은 8월부터 10월까지의 주요 AI 서비스 사이트들의 방문자 수 및 기타 여러가지 데이터를 통해
Chatgpt의 시장 내에서의 입지와 다른 경쟁사이트와의 격차도 한번 알아보도록 하죠.
해당 순위 비교를 도와줄 녀석은 Similarweb.com이라는 웹사이트 비교 분석 업체입니다.(출처-similarweb.com) Similarweb은 각종 사이트의 트렌드, 데이터 비교 분석, 앱스토어 및 플레이스토어 수요 순위 등
아래와 같이 수많은 지표들을 분석해주는 사이트입니다.similarweb.com이 제공하는 지표 (출처-similarweb.com)
단언컨데 빠르게 사이트 순위 및 지표 분석을 하고싶다? 그냥 이 녀석으로 해결하시면 됩니다.
그럼 바로 Chatgpt와 비교될 희생양들을 불러오도록 하겠습니다.
비교할 서비스 (출처-pro.similarweb.com)
오늘 Chatgpt와 비교하게 될 서비스는 총 4가지.
저번 포스팅에서 소개해드린 한국형 Chatgpt 뤼튼.ai와 샤딕봇을 만들어줬던 Poe.com
그리고 google에서 급하게 꺼내든 bard와 Chatgpt의 대항마라고 불리는 대규모 LLM(언어모델)을 갖춘 anthropic까지.
microsoft에서 출시한 Bing은 잠시 빼도록 하겠습니다.
1. 8월~10월 종합 방문자 수 순위
방문자 수 랭킹 (출처-pro.similarweb.com)
1위: Chatgpt (약 46억명)
2위: bard (약 668만명)
3위: Poe (약 176만명)
4위: Anthropic (약 15만명)
5위: wrtn (약 4만명)
전체 이용자 수 순위는 Chatgpt가 압도하고 있는 상황이고 그 뒤를 google의 bard가 뒤따르고 있네요.
2. 종합 지표 비교
종합 지표 (출처-pro.similarweb.com)
- 월별 방문자 수 1위: Chatgpt
- 방문 시간 1위: Chatgpt
- 방문당 페이지 생성 수 1위: Poe.com
- *이탈률 1위: wrtn.ai
페이지 뷰 1위: Chatgpt
역시나 방문자 수와 평균 체류시간은 Chatgpt가 앞서고 있고,
특이하게 이탈률은 wrtn.ai가 제일 높고 Poe가 제일 낮네요.
(* 이탈률: 동일한 사이트 내에서 다른 페이지를 계속 보지 않고 사이트를 방문한 후 나가는 방문자의 비율)
3. 나라별 서비스 이용자 비율
나라별 점유율 지표 (출처-pro.similarweb.com)
미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과 브라질 등 대부분의 나라에서 트래픽이
Chatgpt가 압도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토종 AI 서비스 뤼튼은 어디에도 자리가 없네요,,,)
그래도 한국도 1.45%, 17등의 트래픽을 보여주고한국 점유율 지표 (출처-pro.similarweb.com)
비록 Chatgpt가 88.6%로 압도적이긴 하지만 토종 뤼튼(주황색)도 확인할 수 있네요.
(참고로 뤼튼은 거의 세계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점유율이 확인되었습니다.)
예, 토종 서비스 답네요.
아무래도 Chatgpt의 본고장인 미국이 트래픽을 제일 많이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인도, 아시아 국가가 뒤따르고 있습니다.
4. 소셜 트래픽 비교
Social traffic (출처-pro.similarweb.com)
이용자가 SNS를 통해 유입되는 경로인 소셜 트래픽의 경우
대부분의 서비스가 유튜브를 통해 유입되고 있는 반면, 혼자 ㅗ를 그리며 솟아있는
Poe만 SNS보다 다른 경로를 통해 이용자가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 4종류의 지표를 비교해본 결론,
"예, 말씀중에 죄송하지만 Chatgpt 월클 맞습니다."
참고로 저번에 소개해드린 뤼튼은 아무래도 한국인만 쓰고 있는 듯 하네요.
Chatgpt가 잘나가는건 알고 있었지만 1년이 지나도 이정도로 압도적인 격차를 보여주는게
쉽지 않은데 openai CEO 샘 알트만이 참대단한 것 같습니다.
물론 해고당하면서 많은 구설수와 혼란이 발생하고 있으나 그와는 별개로
이정도로 AI 시장에 거대한 파도를 불러온
Chatgpt. 아직까진 거뜬해 보입니다.
Anthropic가 자사모델 수준을 어디까지 끌어올리냐에 따라 이후의 시장판도가 바뀔지는 지켜봐야 겠네요.
오늘 분석에 사용한 Similarweb은 기억해두셨다가 사이트 지표나 순위가 궁금하거나
자료 조사에도 활용하면 좋으니 꼭 한번 들어가셔서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