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_후기(약 스포주의)
    잡담 및 소통 2023. 11. 1. 18:00

    반갑습니다. 11:41입니다.

    오늘은 좀 다른 이야기로 시작을 해보려고 합니다.

     

    몇일 전에 개봉했죠?

    10월25에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를 저도 잠깐 보고 왔습니다.

     

    이웃집 토토로, 원령공주와 귀를 귀울이면 등

    '지브리' 라는 독자적인 장르를 만들어낸 감독의 마지막 은퇴작이죠.

     

    일본에서는 일찍이 개봉했지만 한국은 최근에 상영을 시작했습니다.

     

    소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를 원작으로 하지만

    그 내용은 제목만 가져다 썼다고 할만큼 원작의 고증이라고 할까요?

    그런 부분은 거의 없었습니다.

     

    영화를 보기에 앞서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전반적인 작품 세계와

    그가 친하게 교류했던 동료 감독 및 지인들의 영화 평론을 훑어봤습니다.

     

    일종의 습관이라고 할까요?

    관심있는 작품은 꼭 사전에 감독의 세계를, 고유한 색을 찾아보고 가곤 합니다.

     

    이번 영화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특히 애니메이션 감독 오시이 마모루의 평론 중 "그의 마마보이 컴플렉스를 드러내는 작품이었다" 라는

     

    부분이 어느정도 작품을 보는 과정에서 감독의 세계에 과몰입할 수 있게 해주는 감초 역할을 해주었습니다.

     

    주인공 마히토의 여정 중 거침없는 행동들과 낯선 세계에 대한 침착함은

     "어떻게 낯선 상황에서 아무 망설임 없이 행동할 수 있지?" 라는 관객들의 의구심과

    몰입의 방해를 불러올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엄마를 향한 마히토의 그리움과 사랑의 결핍이 용기의 근거와 줄거리의 개연성이 되어준다고 느꼈네요.

     

    더군다나 이세계를 넘나드는 과정에서 이 세계들이 무엇을 상징하는지,

    시간의 순서와 공간의 질서가 뒤죽박죽인 채로 이야기가 진행되다 보니 저도 도중에

     

    "그래서 펠리컨이 전쟁 상황을 의미하는건가?"

    "그럼 앵무새 무리는 인간을 빗댄 것인가?"

    "돌은 무엇을 의미하는거지?"

     

    해석을 하다가 후반부에는 그저 아름다우면서도 서글픈 느낌을 주는

    세계, 마히토와 큰할아버지의 만남과 엄마와의 재회 등 보이는 서사 그대로 따라갔습니다.

     

    마지막에 큰할아버지가 건넨 제안을 승낙하지 않고

    스스로의 답을 내고 나아가려는 마히토의 모습에서 어쩌면 

     

    마히토가 늘 갖고 있던 결핍과 방황은 우리 모두가 겪었거나 마주하고 있는 현실이고

    아무리 좋은 세계를 조합해도 앞으로의 선택에 '내'가 있지 않으면 무슨 의미가 있는가

    하는 저 나름대로의 주저리 주저리를 써봤습니다.

     

    여러분들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를 보면서

    어떤 길을 선택했으며 또 나아가고 있으신가요?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