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Poe, AI 챗봇계의 유튜브가 될 수 있을까?
    IT 시사 및 인사이트 2024. 3. 13. 15:00

    ChatGPT가 시장에 나오고 수많은 LLM 모델을 바탕으로한
    다양한 AI 봇이 나왔습니다.
     
     
    이제는 ChatGPT, StableDiffusion, Dall-E 뿐 아니라
    Claude시리즈부터 해서 Gemini까지 수많은 기업들의 시장 참전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소비자의 입장에서 그러한 모델들을 일일이 찾아나서고
    용도에 맞게 적절히 커스텀하는 일은 쉽지 않죠.
     
     
     
    Poe는 그런 점에서 보다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필요한 챗봇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 영역은 기업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식 AI 챗봇부터 시작해서

     
     
     
     
    개인이 생성한 AI 챗봇까지 다양하죠.

     
     
     
     
    어찌보면 기존의 서비스가 제공해오던 기능들을
    한곳에 모아놓고 굳이 직접 Prompt를 입력해서 역할을 규정해주지 않아도 되는 셈이죠.
     
     
    기존의 Generate AI 서비스 또한 이미 나와있는
    LLM를 베이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적당한 작업에는 문제없이 사용가능하죠.
     
     
    Character.ai가 캐릭터, 인물 등의 페르소나의 생성과 그를 통한 재미로 사용자를
    끌어들였다면 Poe는 보다 유용한 경험 제공에 초점을 맞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Poe가 다른 여타 서비스들과 구분되는 차이점이 있는데
    일방적인 구독모델의 강요가 아닌 서비스 이용자과 같이 형성해가는 생태계입니다.
     
     
    '크리에이터'라는 시스템을 만들어 내가 생성한 봇을
    다른 이에게 공유하고 Poe 생태계에 합류시키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죠.

     
     
     
    물론 다른 사용자가 Poe를 구독해야만 수익이 나오는 구조이긴 하지만
    기존의 AI 서비스가 고수하고 있던 "너 이 기능 편리하고 필요하잖아, 그럼 돈 내야지?" 식의
    시스템에서 사용자와 같이 수익을 나누고 생태계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는 방향으로 보입니다.
     
     
     
    물론 구독모델 자체가 가볍게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그리 저렴하다고 느껴지긴 어렵지만,
     
    애초에 ChatGPT-4를 이용하는데 드는 비용이
    $20(한화 약 26,000)정도임을 감안한다면

    ChatGPT 월별 구독료

     
     
    GP-4를 사용할 수 있고 기타 베타 서비스중인 봇들 또한
    사용 가능한 Poe 구독료는 나름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유튜브가 크리에이터들에게 광고 수익을 배분하듯
    Poe 또한 구독 래퍼럴이 조건이긴 하지만 수익을 배분하려는 방향을
    잡은 것 자체는 Poe 내부 생태계를 성장시키는 근거있는 동력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이죠.
     
     
    물론 작년 10월달을 기준으로 이용자수가 꾸준히 감소추세에 있는 것은 사실이나,

    Poe Visits over time(source_pro.similarweb.com)

     
     
     
    개선된 수익창출 모델과 Poe.ai 내부의 컨텐츠 추가 확보 등의
    움직임을 꾸준히 보여준다면 충분히 성장할 여지가 높다고 보여집니다.
     
     
     
    이제는 AI 시장에서 서비스들이 이용자를 대하는 방식이
    일방적 서비스 제공과 구독모델 강제화에서 점차 상생의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이
    좀 더 건설적인 성장을 위한 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