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Gather - 메타버스는 원래 다 이등신(?)인 걸까?
    IT 온라인 학습 및 협업 도구 2023. 10. 9. 18:00

    반갑습니다. 11:41입니다.

    저번에 국산 메타버스 플랫폼 ZEP에 대해 소개해 드렸었는데요.

    이게 ZEP을 꽤나 재밌게 봤어서 이녀석과 비슷한 분야의 서비스가 없나 찾아봤더니 하나 있더라구요.

     

    이번에는 ZEP보다 앞서 2등신 메타버스 서비스를 시작한 녀석 Gather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Gather - 비디오 챗 플랫폼

    Gather는 2020년 Phillip wang을 주축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메타버스 화상 회의 플랫폼입니다.

    ZOOM과 같이 화상캠과 마이크를 통해 소통하나 가상 공간 내의 아바타를 이용해 보다 많은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죠.

     

    내용물은 얼추 비슷하니 바로 한번 사용해보겠습니다.

    Gather 메인화면

    로그인과 동시에 가상 오피스를 만들 수 있으니 만드는 과정만 잠깐 소개해드리겠습니다.

    Create space를 통해 원하는 업무 공간 스타일을 고를 수 있습니다. 

    Start from blank로 아예 새로운 공간을 빌드할 수 있는 케이스와 

    Copy from existing space를 통해 기존의 템플릿을 가져와서 바로 사용하는 케이스 두가지가 있습니다.

    (Custom은 기존에 내가 만들어놓은 회의 공간에 해당합니다.)

     

    저는 굳이 새로운 공간을 빌드할 필요가 없으므로 미리 만들어놓은 공간으로 접속하겠습니다.

    Gather 접속화면

    접속하면 해당 화면이 먼저 뜨면서 가상공간에서 사용할 아바타를 커스텀할 수 있습니다. (나름 재밌어요)

    Gather 공간 이미지

    들어가면 도트 형식의 사무실 공간이 나오고 방향키나 클릭을 통해 돌아다닐 수 있습니다.

    문을 열고 닫는 등 각각의 Object별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경우도 있구요.

    우측 하단의 Chat 아이콘을 통해 근처 또는 전체 참가자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그 옆의 달력 아이콘은 Google outlook과 연동해서 내 스케쥴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어요.

     

    ZEP과 마찬가지로 망치 모양 아이콘으로 현재 사용하는 공간을 커스터마이징 가능합니다.

    Build에서 필요한 Object를 배치시킬 수 있고, Map을 통해 공간 확장, 테마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ZEP과 조금 다른(?) 기능이라고 하면 MY desk라고 내 책상을 지정하고 어디에 있든 내 책상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이게 은근 편리한게 메타버스 공간이다보니 아무리 2D로 이동한다고 해도 맵 Layer가 늘어나거나 하면

    유저끼리 회의 위치를 배정하는 것도 귀찮을 수 있는데 back to my desk로 자기 자리 찾아가면 끝이라 편해요.

    (그외 자물쇠를 통해 내가 위치한 공간에 다른 사람의 출입을 막을 수 있고 링크로 위치 공유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ZEP과 엔터테이먼트적 차이점이 또 하나 있더라구요.

    ZEP은 따로 javascript를 이용해 맵 내의 미니 게임을 만들거나

    만들어진 게임을 추가해 ZEP에서 바로 플레이 한다면,

    Gather는 게임을 추가하면 해당 게임을 링크를 통해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간단한 게임은 Object 상호작용으로 아래와 같은 체스 느낌으로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합니다.

    Gather 체스 게임

    근데 확실히 엔터적 요소와 다양성은 ZEP이 좀더 많네요.

     

    그리고 Gather의 경우는 주로 비대면 화상 회의 용도로만 쓰인다면

    ZEP의 경우 오락적 요소와 전에 말씀드린 Wallet과 자체 재화 Zem 통한 ZEP 내의 경제활동도 가능하기에

    확장성도 ZEP이 더 우세해 보입니다.

     

    실제로 기존에 Gather를 통해 진행되던 해커톤같은 비대면 챌린지 프로그램을

    ZEP으로 옮겨와 진행한 사례가 있는만큼 Gather만의 셀링 포인트가 그밖에 있을까 싶긴 하네요.

     

    동시접속자 수또한 gather의 경우 최초 이용 혜택을 쳐도 한달동안 50명의 접속자가 가능하고 혜택 종료시

    10명이 가상 오피스에 접속 가능합니다. 그외 추가 옵션은 아래와 같이 사람당 달마다 $ 7의 요금이 발생합니다.

    Gather 유료 옵션
    ZEP 유료옵션

    ZEP의 경우 무료 옵션으로 동시접속 20명까지 가능하고 수용 인원마다 다르지만

    50명을 기준으로 보면 프로모션 제외하고 15만원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똑같은 옵션으로 Gather 기본 제공 10명에 추가 인원 40명을 계산하면 한화로 약 40만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하죠.

     

    물론 Gather에 One time event라고 단발성 이벤트 공간의 경우 절반 가량인 $ 3를 내고 이용이 가능하긴 합니다.

    One time events 요금제

    ZEP 광고는 아니지만 2등신 도트 아바타는 기본 옵션이라는 가정하에

    Gather와 확실히 가격과 편의성 측면에서 견줄만한 요소가 많은 것 같습니다.

    한국어가 익숙한 사용자에게는 ZEP이 더 편한 것은 당연하구요.

     

    역시 비슷한 플랫폼끼리 비교하는 과정에서 각 서비스들의 장단점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 같습니다.

    맞불작전(?)이라고 하나요?

     

    다음 포스팅에서도 알아두면 손해볼일 없는,

    무료로 이용해먹을 수 있는 플랫폼들 위주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