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세계가 뽑은 이미지 생성 AI 사이트 맛집은?
    AI 도구와 서비스 플랫폼 2023. 11. 29. 16:39

    영화 터미네이터를 보면

    AI 스카이넷이 인류를 지배할 계획을 세우고

    사람들은 이를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나옵니다.

     

     

    하지만 막상 Chatgpt가 나오고

    AI가 대중들에게 소개될 때는

    이쁜 그림 그려줘요~ 손가락은 이상하지만 퀄리티 좋아요~ 보고 가세요~

    이런 느낌이었죠.

     

    하지만 요즘에는 이런 어색한 부분마저도 보완해서

    각종 생성형 AI를 활용한 서비스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앞서 소개해드렸던 이미지 생성 AI 서비스들의

     

    최강자가 과연 누구인지 한번 겨뤄보려고 합니다.

     

    바로 시작해보죠.

     

    image GenAI 비교 (출처 - pro.similarweb.com)

     

    오늘 비교해볼 이미지 생성 AI 서비스는 4종류 입니다.

     

    각 서비스들의 자세한 정보 및 사용법은 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

     

     

     

     

    먼저 세계 랭킹 및 미국 내의 랭킹입니다.

     

    * 세계랭킹 및 미국 내 랭킹

    (랭킹은 도메인별 traffic 순서대로 집계됩니다.)

     

    1위: Civitai.com - 1,440위, 1,925위

    2위: midjourney.com - 2,517위, 2739위

    Global, USA ranking (출처 - pro.similarweb.com)

     

    Civitai는 간단한 사용성과 초보자들에게도 비교적 친근한 접근 등이 특징인데

    1위를 차지했군요.

     

    midjourney는 이후의 지표에서 나오겠지만 이미지 생성 AI 중에서

    사용법만 알면 디테일한 결과물을 뽑아낼 수 있기에 관심있는 사람들은 많이들 찾습니다.

    다만 초보자가 사용하기엔 쉽지 않아 2위에 머무른 것으로 보이네요.

     

     

     

     

     

    다음은 종합 방문자 수 입니다.

     

    * 종합 방문자 수 랭킹

     

    1위: Civitai.com - 약 7,200만

    2위: Midjourney - 약 5,600만

    3위: stablediffusionweb - 약 1,200만

    Total visits (출처 - pro.similarweb.com)

     

    앞서 나온 랭킹 지표와 유사하게 Civitai와 Midjourney가

    1,2위를 다투고 있습니다.

     

    특히 Civitai는 전체 생성형 AI 시장 방문자 수 집계에서 5위 안에

     

    포함된 적도 있다보니 여전히 높은 지표를 보이고 있어요.

     

     

     

    랭킹과는 별개로 데스크탑과 모바일 사용 비율을 조사한 자료도 있습니다.

     

    대부분은 웹에서의 사용 비율이 더 높은 반면

     

    Wombo.ai는 앱을 통한 지원을 주로 하기에 모바일 비중이 더 높네요.

    Device distribution (출처 - pro.similarweb.com)

     

     

     

     

     

    다음은 종합 지표입니다.

     

    종합 지표 비교는 저번 글에서도 Chatgpt와 bard를 통해 중점적으로 다뤘었는데요,

     

    거의 모든 지표에서 Civitai가 선두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Total Engagement (출처 - pro.similarweb.com)

     

     

     

     

    방문자 수 추이를 비교해봐도

     

    전반적으로 이용자 수 감소가 나타나지만 순위 변화는 없네요.

     

    8-10월 방문자 수 추이 (출처 - pro.similarweb.com)

     

     

     

     

    다음으로

    전체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의 국가별 차지 비중과

     

    해당 국가 내의 서비스별 트래픽 차지 비중을 제시한 자료입니다.

     

     

    미국, 일본, 중국, 인도와 독일 순으로 이미지 생성 AI를 활발히 사용 중이며,

    (남색: stablediffusion / 주황: Civitai.com / 노랑: Midjourney.com / 초록: Wombo.ai)

    Country traffic (출처 - pro.similarweb.com)

     

    특이한 부분은 일본에서 Civitai가 약 90%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반대로 인도에서는 Midjourney가 약 70% 정도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저번에도 소개해드렸지만 Civitai를 들어가서 생성된 이미지들을 둘러보시면

    왜 일본에서 Civitai 이용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지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연령대별 사용자 분포에서

     

    나이대별 서비스 사용 비율을 알 수 있는데요,

     

    아무래도 AI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시기도 아직 얼마되지 않았고,

     

    새로운 컨텐츠와 정보에 민감한 젊은 층에서 사용자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연령대별 사용자 분포 (출처 - pro.similarweb.com)

     

     

     

     

     

    다음으로는 이용자들이 해당 서비스에서 주로 향유하는

    키워드를 그래픽으로 나타낸 자료인데요, 

    Civitai 키워드 (출처 - pro.similarweb.com)

     

    먼저 Civitai는 게임, 성인(18+) 영역이 주를 이루고,

     

    쇼핑, 일본, 비디오 게임, 만화 등의 키워드가 가장 많이 향유되고 있습니다.

    (좀 전의 일본 내에서의 Civitai의 비중이 큰 이유를 키워드에서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네요)

     

     

     

     

    Midjourney는 컴퓨터, 그래픽과 프로그램 영역으로 주로 활용되고

     

    블로그, 디자인, 도메인, 커뮤니티 등이 주요 키워드로 뽑혔습니다.

    Midjourney 키워드 (출처 - pro.similarweb.com)

     

     

     

     

    다른 서비스에 비해 저조한 사용률을 보인 Wombo.ai는

     

    주로 SNS, 컴퓨터, 프로그램 영역이 메인이고

    키워드 역시 SNS가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Womboai 키워드 (출처 - pro.similarweb.com)

     

    지금까지 이미지 생성 AI 도구를 지원하는 서비스들의

     

    랭킹과 특징적인 지표들을 살펴봤습니다.

     

    지표 1위는 Civitai.com으로 확실히 이용이 간편한 것에 비해

    Prompt 디테일을 추가하면 더욱 고퀄리티의 결과물을 뽑아내 주기에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하지만 1,2위의 지표 차이가 그리 크지도 않고,

     

    AI 시장이 워낙 하루가 다르게 변화를 거듭하다 보니

     

    이런 지표들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Chatgpt 급의 유의미한 차이가 아니니

     

    재미로만 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