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4년이 주목한 기술 트렌드
    AI 도구와 서비스 플랫폼 2023. 12. 11. 21:15

    오늘은

    A16z에 나온 리서치를 바탕으로 트렌드가 될만한 기술들을

    몇가지 뽑아 요약한 내용을 전달해드리려고 합니다.

     

    대략 7가지 정도 추려왔습니다.

    바로 보시죠.

     

     

     

    1. 스마트 에너지 그리드 시스템

     

     

    그리드는 수평선과 수직선으로 이루어진 집합체로, 정렬과 최적의 형태를 짤 때

    많이 활용되고 있는 그리드 시스템을 에너지 분야에 접목시키는 것인데요.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복잡하게 퍼져있는 배선 인프라를 우회하여

    주거용 태양광, 가정용 배터리. 심지어 소형 모듈식 원자로 등에 직접 제공하고

    잉여분은 다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구축 관련 분야가 2024의 첫번째 트랜드였습니다.

     

     

     

     

     

    2. 해양 탐사의 시대

     

     

    해양 탐사도 자주 언급되는 주제지만 아직까지도 우리는

    해저보다 화성 표면에 대한 정보가 더 많을 정도로 미지의 세계입니다.

     

    A16z 파트너 Grant Gregory에 따르면

    Flexport, Saildrone, Saronic 등과 같은 회사는 이미 해양 현대화를 시작하고 있고

    지속적인 지정학적, 공급망 및 기후 혼란으로 인해 변화에 대한 수요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AI, 하드웨어 및 컴퓨터의 발전으로 자율적이고 현대화된 페리, 컨테이너 선박 등이

    도시, 항구 무역 네트워크를 발전시키고 로봇을 통해 해저의 생태계와 다양한 물질들을 채굴하는

    속도를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을 것.

     

     

     

     

    3. 제약의 프로그래밍

     

     

    전통적으로 의약품 개발은 제약회사를 통해 오랫동안,

    위험을 감수한 임상시험을 거쳐서 개발되어 왔는데요.

     

    이제는 유전자 치료와 같이 잠재적 치료와 특정 세포를 표적으로 삼는 의약품을

    프로그래밍을 통해 생산하고 필요할 때마다 일부 유전적 요소를 교체함으로써

    동일한 치료제로 각 개인에 맞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이 각광받을 것입니다.

     

    특히 현재 FDA는 Office of Therapeutics Products를 출범해 희귀 질환에 대한

    Operation Wrap speed를 시험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의약품을 속속히 승인하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AI를 활용하여 유전적 정보를 분석해 질병을 치료할 방법도 모색하고 있다고 하니

    2024년도에도 눈여겨 볼만한 분야에 꼽혔네요.

     

     

     

     

     

    4. 음성 우선의 앱 상호작용

     

     

    음성은 인간 의사소통의 가장 오래되고 일반적인 형태임에도 실제로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작동한 적은 없는데요.

     

     

    2023년 초 Microsoft CEO Satya Nadella는 이제는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통해

    가상 비서(시리, 빅스비 등이겠죠)가 인간 수준의 대화 기능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고 합니다.

     

     

    다만 음성을 통한 상호 작용 방식이 다 달라 기존 앱을 통해서는

    이러한 상호 작용을 경험하기 어려웠는데요.

    (Gmail이 받은 편지함에 AI 음성 인터페이스를 도입할 가능성이 낮듯이.)

     

     

    A16z 총괄 파트너 Anish Acharya는

    2024년에 음성 앱이 실생활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을 정도로 통합될 것을 기대하고 있네요.

     

     

     

     

     

     

    5. 교육 분야에서의 AI 활용

     

     

    2023년에 약 30%의 대학생이 학업에 ChatGPT와 같은 도구를 사용했다는 설문결과가 나왔는데요.

    이처럼 생성형 AI를 통해 학문적으로 정직하냐 마느냐에 대한 우려 이전에

    AI를 통해 어린 학습자들의 참여와 교육을 안전하게 시킬 수 있는 맞춤 인터페이스와 컨텐츠 조정 등의

    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A16z 파트너 Zach Cohen은 내다봤구요,

     

    추가적으로 생성 AI 기술을 통해 코드가 없거나 최소한의 코드만으로

    무궁무진한 결과물을 창작할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데요.

    (Midjourney, Ideogram, Eleven Labs 등)

     

    이처럼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한 여러 플랫폼의 출시로 인해 코딩을 최소화 하면서도

    다양한 작업에 여러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점이 2024년에도 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6. Web 3.0의 본격적 논의

    기존의 Web2.0. 중앙화된 시스템, 플랫폼의 통제권이 소수의 손에 있을 때

    다수의 자유를 침해하기 쉬운 반면 탈중앙화를 기반으로 분산화된 거버넌스 모델은

    web3.0으로써 Dao(분산형 자율 조직)와 같은 형태로 나타났는데요.

     

     

    더이상 소수의 리더십에 의존하고 책임을 묻는 방식에서 벗어나

    분산화된 조직체계 및 운영 기능 혁신을 통해 보다 투명한 방향성을 갖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는 기존의 시장 참여자들을

    온보딩(끌어들이고 정착시키는)하기에는 복잡한 암호키와 과정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a16z crypto의 CTO Eddy Lazzarin은

    2024년에는 Web3.0에서 보다 간편한 온보딩과 입문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네요.

     

     

    추가로 AI와 블록체인의 결합도 주목해봐야 하는데요.

    기존의 ChatGPT와 같은 AI 모델은 소수의 기업에서만 학습시키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소규모 참여자들에게는 사실상 해당 컴퓨팅 및 학습 데이터에 기여하고

    보상을 받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는데요.

     

     

    이제는 암호화폐를 통해 필요한 사람의 네트워크에 컴퓨팅 혹은 데이터 세트를 제공하여

    누구나 참여 가능한 글로벌한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롱테일 리소스를 활용해 AI 비용을 낮추고 접근성은 높이는 방식으로 가는 것이죠.

     

     

    또한 심각한 문제로까지 여겨지고 있는 AI의 독점과 같은 문제를

    스탠포드 경영대학원의 정치경제학 교수 Andrew Hall과 데이터 과학자 Daren Matsuoka는

    암호화 기술을 사용해 분산화 및 민주적으로 관리하고, 언제든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즉, 민주적인 방향으로 AI 혁신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7. 게임 산업에서의 AI 활용

     

     

    이미 AI, VR/AR, web3.0 등 다양한 기술이 게임에 접목되고 있고

    생성형 AI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넘어 3D와 비디오, 오디오 형성 등에도 관여해

    기존 개발 비용의 1/1,000 수준으로 비용 절감함과

    동시에 소비자가 자신만의 게임 스타일을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A16z Games 총괄 파트너 Andrew Chen은

    어린이 및 성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VR/AR 시장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차세대 디즈니는 게임 회사이다'라고 말이 나올만큼

    2023년 예상 게임 수익은 1,880억 달러인 반면

    글로벌 영화 박스오피스는 345억 달러의 수익에 그쳤습니다.

     

    젊은 게임 기반 세대가 로블록스, 클래시 오브 클랜, 포트나이트, 발로란트 등을

    플레이하면서 게임이 점차 IP로 인식되고 있는데요.

     

    그 예로 인기 온라인 게임 리그오브레전드의 IP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아케인' 시리즈도 당시 Netflix의 시청률 1위와 최고 평점을 찍을 만큼 엄청난 인기를 보여줬고

    더이상 플레이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영화를 대체하는 차세대 엔터테인먼트 강자로

    2024년에는 본격적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 보입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2024년도의 트랜드를 볼 수 있지만

    대부분의 주된 변화들은 공통적으로 AI를 필두로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해야될 부분이겠네요.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